경도인지장애(MCI) 최신 동향: 레카네맙 승인, 조기선별·MRI 바이오마커 정리

경도인지장애(MCI) 최신 동향: 레카네맙 승인, 조기선별·MRI 바이오마커 정리

경도인지장애(MCI) 최신 동향: 치료·진단·정책까지 한 번에 정리

경도인지장애(MCI)는 치매로 진행하기 전 단계이자, 치료介入의 ‘골든타임’으로 여겨집니다. 최근 유럽연합(EU)이 레카네맙(레켐비)을 승인(2025-04-15)하면서, 초기 알츠하이머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. 한국은 2024년 5월 식약처 허가 후 11월 말 출시로 글로벌 흐름에 빠르게 합류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최신 치료제 동향, 조기 선별 기술, 국내 정책·인식 변화까지 실무적으로 필요한 포인트만 골라 정리합니다.

1) 치료제 업데이트: 레카네맙(레켐비) 무엇이 달라졌나

  • EU 최초의 질병 변형 치료: 2025년 4월 15일, 유럽연합 집행위가 레카네맙을 승인. 대상은 초기 알츠하이머(경도인지장애 포함) 환자로, 아밀로이드 제거를 통한 진행 지연 효과가 근거입니다.

    출처: ADI, 2025-04-15
  • 안전성·모니터링: ARIA(뇌부종·출혈) 위험이 있어 정기 MRI 모니터링이 권고됩니다. 일부 유전자형(APOE4 동형 등)에서 주의가 강조됩니다.

    출처: 로이터, 2025-04-15
  • 한국: 2024-05 식약처 허가, 2024-11 말 국내 출시(초기에는 비급여 중심), 2024-12 첫 투여 사례 보도.

    출처: 에자이, 2024-05-27 ·
    출처: PRNewswire, 2024-11-27 ·
    출처: MK/Pulse, 2024-12-20
  • 경쟁 약물: 도나네맙은 미국 승인 후 EU에서는 안전성·비용효과성 논란으로 불승인. 국내 도입 시 치료 전략의 분화가 예상됩니다.

    출처: 파이낸셜타임스, 2025-03

2) 조기 선별과 진단: 3분 EEG부터 MRI 철(iron) 바이오마커까지

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‘누구를, 언제’ 치료할지 가려내는 선별·진단 체계가 핵심입니다.

  • EEG Fastball 테스트: 수동 시청 중 뇌파 반응을 분석, 기억상실형 MCI 등 아형 구분 가능성을 보고(참여자 106명). 진단 보조 도구로 유망하나 대규모·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합니다.

    출처: 가디언, 2025-09-02
  • MRI ‘뇌 철’ 지표: 정량적 자화율지도(QSM) 등 특수 MRI로 뇌 철 농도를 측정해 정상 노인에서도 향후 인지저하 위험 예측에 도움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.

    출처: RSNA, 2025-09-09
  • 국내 1차 선별: K-DSQ 등 설문 기반 선별은 여전히 유용합니다(지역사회 보건과 연계 가능).

    참고: ResearchGate(개요)

3) 국내 인식과 정책: ‘골든타임’에 맞춘 체계 만들기

  • 인식 제고: 국민 59.1%가 MCI를 ‘치매 예방의 중요한 시기’로 인식. 교육·검진 참여 확대가 관건입니다.

    출처: 농민신문, 2025-09-12
  • 진료지침·권고: 대한치매학회가 2025-05 레카네맙 적절 사용 권고안을 게시—대상 선정, 모니터링, 금기 등을 구체화.

    출처: 대한치매학회, 2025-05-21
  • 현실 과제: 아밀로이드 확인(영상·혈액), 정기 MRI, 투여 인프라(주사·응급대응), 비용·급여 기준 등 실무 장벽 해소가 핵심입니다.

    출처: 뉴시스, 2024-05-24

4) 생활·케어: 오늘 당장 시작하는 ‘인지 예비능’ 쌓기

치료와 별개로, 인지 예비능을 높이는 활동(지속적 학습·사회활동·운동·수면·혈관위험 관리 등)은 MCI 단계에서 특히 중요합니다. 지역 치매안심센터·보건소의 기억력 검진과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활용해 보세요.

5) 체크리스트: 병원 방문 전 준비물

  1. 최근 6~12개월 기억·주의 변화 기록(가족·지인의 관찰 포함)
  2. 복용 중인 약·보충제 목록, 혈관위험 요인(고혈압·당뇨 등) 관리 기록
  3. 가능하면 기초 인지 선별(K-DSQ 등) 결과 및 이전 뇌영상·혈액검사

6) 핵심 수치 요약

항목 최신 기준 출처
EU 레카네맙 승인 2025-04-15 (초기 AD, MCI 포함) ADI
한국 허가/출시/첫 투여 허가 2024-05 → 출시 2024-11 말 → 첫 투여 2024-12 Eisai · PRN · MK
국민 인식(‘MCI를 안다’) 59.1% (2025-08/09 조사) 농민신문
EEG Fastball 106명 대상, MCI 아형 구분 가능성 The Guardian
MRI 철(iron) 바이오마커 인지저하 예측 잠재력 보고 RSNA

맺음말

MCI 관리는 ‘조기 선별 → 정확한 진단 → 적기 치료 → 생활중재’의 연결이 성패를 좌우합니다. 2025년은 치료제·진단기술·정책이 동시에 진화하는 전환기입니다. 최신 정보를 참고해, 본인과 가족, 환자에게 가장 합리적인 경로를 설계하시길 바랍니다.

Comments

No comments yet. Why don’t you start the discussion?

Leave a Reply

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. Required fields are marked *